아리토 미치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토 미치요는 1969년부터 1986년까지 롯데 오리온스에서 활약한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뛰어난 공수주 능력을 갖춘 3루수였으며, 1969년 신인왕을 수상하고, 통산 10번의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1977년에는 수위 타자를 차지했으며, 1974년 일본 시리즈에서 타격상과 기술상을 받았다. 선수 은퇴 후 롯데 오리온스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치현 출신 야구 선수 - 후지카와 규지
후지카와 규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한신 타이거스에서 활약하며 최우수 중간 계투와 최다 세이브 투수 타이틀을 획득했고, 메이저 리그에도 진출했으며, 2024년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고치현 출신 야구 선수 - 기노시타 다쿠야
기노시타 다쿠야는 뛰어난 프레이밍과 강한 어깨를 가진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주니치 드래건스의 포수이며 2020년 도루 저지율 1위와 최우수 배터리상 수상 등 공수에서 활약하고 있다. - 롯데 오리온스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롯데 오리온스 선수 - 오치아이 히로미쓰
오치아이 히로미쓰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서 롯데, 주니치, 요미우리, 닛폰햄에서 활약하며 3번의 타격 3관왕, 양대 리그 홈런왕과 타점왕 석권 등 굵직한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 주니치 드래건스 감독으로서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2011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일본 프로 야구 3루수 - 미즈하라 시게루
미즈하라 시게루는 일본 프로야구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감독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전 선수와 3개 구단 감독을 역임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도 활동하며 한국 프로야구 발전에도 기여했다. - 일본 프로 야구 3루수 - 맷 데이비드슨
맷 데이비드슨은 미국, 일본 프로 야구를 거쳐 2024년 KBO 리그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타율 0.306, 46홈런, 119타점을 기록하며 KBO 홈런상을 수상한 야구 선수이다.
아리토 미치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리토 미치요 |
원어 이름 | 有藤 通世 |
로마자 표기 | Arito Michiyo |
출생 | 1946년 12월 17일 |
출생지 | 고치현 다카오카군 우사 정 (현) |
사망 | 알 수 없음 |
신장 | 186cm |
체중 | 82kg |
타석 | 우타 |
투구 | 우투 |
포지션 | 3루수, 외야수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연도 | 1968년 |
드래프트 순위 | 1순위 |
첫 출장 | 1969년 4월 30일 |
마지막 경기 | 1986년 10월 19일 (은퇴 경기) |
소속 구단 | 롯데 오리온스 (1969년 ~ 1986년) |
기록 | |
타율 | .282 |
홈런 | 348 |
안타 | 2,057 |
타점 | 1,061 |
수상 | |
수상 내역 | 퍼시픽 리그 신인왕 (1969년) |
골든 글러브상 수상 연도 | 1975년, 1989년 |
감독 경력 | |
소속 구단 | 롯데 오리온스 (1987년 ~ 1989년) |
기타 | |
별명 | 미스터 롯데 |
2. 선수 경력
롯데 오리온스(1969년 ~ 1986년)에서 트리플 쓰리를 노릴 수 있을 정도의 공수주 삼박자를 갖춘 선수로 활약하며 팬들을 열광시켰다. 같은 3루수였지만, 체격이 좋지 않았던 가케후 마사유키는 26세 즈음의 인터뷰에서 동경하는 선수로 아리토를 꼽으며 "그 사람처럼 치고 싶고, 수비하고 싶은 게 이상적인데, 그분은 몸이 크잖아요."라고 아쉬워했다.[20]
캠프에서 같은 방을 쓰게 된 니시무라 노리후미는 아리토가 매일 그날 배운 것과 느낀 것을 노트에 적는 것을 보고 프로 의식에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21]
가네다 마사이치 감독이 1973년 춘계 캠프에서 '미스터 롯데'라는 별명을 지어주었고, 이는 곧 아리토의 대명사가 되었다.[22]
2023년 현재, 롯데 구단 최다 홈런 기록은 아리토가 기록한 348개이다.[23]
2. 1. 프로 입단 전
아리토 미치요는 나고야시에서 태어났지만, 2살 때 부모님의 이혼으로 스모가 성행하는 고치로 이사하여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스모 소년이었으나, 중학교 입학 전 토사고등학교를 고시엔으로 이끈 카고오 료오에게 야구를 배우면서 야구를 시작했다.고치고등학교 2학년 때 에이스로서 현 예선 결승에서 고치 상고를 꺾고 여름 고시엔에 출전했지만, 2회전(첫 경기)에서 토오기주쿠에게 연장 10회말 역전 끝내기 패배를 당했다. 같은 해 가을 시코쿠 대회 현 예선 준결승에서 토사고의 시마무라 사토시(게이오대-일본강관)와 맞붙었지만 1-2로 패했다. 여름 예선에서는 미츠우치 카즈키(시바공대 - 카네보 화학)와 함께 투수 2인 기둥으로 남시코쿠 대회 결승에서 도쿠시마 상고를 꺾고 고시엔에 진출했다. 개막전 아키타 공업전에 4번 타자, 우익수로 출전했지만, 아키타 공업의 에이스 미우라 켄지에게 첫 타석에서 사구를 맞은 후 결장했다. 고치고는 미츠우치의 호투로 결승에서 하야토고를 꺾고 우승했지만, 아리토는 팀의 전국 제패를 병원 침대에서 텔레비전을 통해 보게 되었다.
모자 가정이었기 때문에 졸업 후에는 일할 생각이었지만, 주변의 지원으로 킨키 대학에 특대생으로 진학했다. 3루수로서 후지와라 미츠루와 삼유간을 이루었다. (입학 초에는 아리토를 유격수로 육성할 예정이었지만, 어떤 경기에서 만루의 위기에서 아리토 유격수가 실책을 범했기 때문에, 3루수가 본업인 후지와 수비 위치를 교체[5]). 간사이 6대학 야구 리그에서는 춘계 리그에서 에이스 야마시타 리츠오를 앞세워 킨다이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 같은 해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니혼대에게 패하여 준우승했다. 재학 중에 3번 우승했고, 춘계 리그에서는 수위 타자를 획득했다. 리그 통산 78경기 출전, 274타수 84안타, 타율 .307, 8홈런, 36타점을 기록했다.
동기에는 "호대 삼우까마귀"라는 이명으로 불린 타부치 코이치・야마모토 코지・토미타 마사루와 메이지대의 호시노 센이치 등이 있었기 때문에, 아리토의 지명도는 낮았다. 어머니는 프로 입단을 반대했기 때문에, 사회인 야구를 경험하고 나서 프로 입단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하거나[6], 마음이 편치 않은 날들을 보내고 있을 때, 신문에서 당시 킨테츠의 미하라 오사무 감독이 "고치의 인간은 소질은 있지만, 술과 여자 때문에 망한다"라고 코멘트한 기사를 보았다[6]。같은 시코쿠의 카가와현 출신의 "지장"이 무엇을 근거로 그런 말을 하는지 "웃기지 마라"라고 분노하며, 프로에 들어가 힘을 보여주고 싶다는 마음이 강해졌다[6]。
1968년 드래프트 1위로 도쿄 오리온즈(다음 해 부터 롯데 오리온즈)에 입단했다. 야마우치 카즈히로가 달았던 등번호 '''8'''을 물려받았다. 지명 당시에는 사회인 야구로 진출할지 고민했지만, "25세까지 레귤러를 못 잡으면 대학 직원으로 돌아간다"라는 약속을 받고 프로 입단을 결심했다[7]。
2. 2. 롯데 오리온스 시절
아리토 미치요는 1969년 롯데 오리온스에 입단하여 당시 노우토 와타루 감독에 의해 3루수 주전으로 발탁되었다.[8] 그 해 퍼시픽 리그 신인 최다인 111개의 삼진을 기록했지만, 타율 .285(리그 11위), 21홈런의 성적으로 신인왕을 차지했다. 111개의 삼진은 1999년 후쿠도메 코스케가 121개의 삼진을 기록할 때까지 프로 야구 신인 기록이었다.이듬해인 1970년에는 전 경기에 출장하여 올스타전에 13년 연속으로 선출되었다. 주로 5번 타자로 나서 리그 6위의 타율 .306, 25홈런, 80타점, 27도루를 기록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수비에서는 리그 최다인 26실책을 기록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5번·1번 타자로 전 경기에 선발 출장했지만 21타수 4안타 1타점으로 부진하여 1승 4패로 패했다.
1971년에는 1번·5번·6번 타자 등으로 출장했지만 2년 연속 리그 최다인 24실책으로 수비 문제는 여전했다. 1972년에는 주로 3번 타자로 나서 개인 최고 기록인 29홈런, 31도루를 기록했다. 수비에서도 실책이 절반으로 줄었고, 3루수로서 시즌 147개의 자살(刺殺) 퍼시픽 리그 기록을 세웠다.
1973년에는 타율 .300(리그 9위), 20홈런을 기록했고, 10월 10일 야기사와 소로쿠의 퍼펙트 게임을 지켜봤다. 1974년에는 25홈런, 20도루를 기록하며 팀의 일본 제일에 공헌했다.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MVP를 히로타 스미오에게 내줬지만, 21타수 9안타 2타점 2홈런, 타율 .429를 기록하며 타격상과 기술상을 받았다.
1975년 시즌 도중, 후기 개막 전에 등록명을 아리토 미치요(有藤通世)로 변경했다. 이는 "프로 입단 후 얼굴에 데드볼을 5번이나 맞는 등 부상이 많았고, 그래서 어떤 사람의 권유" 때문이었다고 밝혔다.[9]
1977년에는 주로 3번 타자로 활약했고 9월 이후에는 주로 1번 타자를 맡았다. 같은 해 개인 최고 타율 .329로 수위 타자를 차지했다. 한편, 같은 해 캠프에서 왼손목 건초염을 앓았고, 시즌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다 부상당하거나 사구로 팔꿈치를 다치는 등 부상이 잦아 홈런은 16개에 그쳐, 입단 이후 계속되던 연속 20홈런 이상 기록이 중단되었다. 1978년 8월 31일에는 이마이 유타로(한큐)의 퍼펙트 게임을 지켜봤다.
1980년에는 주로 5번이나 6번 타자로 기용되어 타율 .309, 22홈런, 27도루를 기록했다. 1981년에는 통산 10번째 베스트 나인을 수상했다. 같은 해 10월 19일, 감독 야마우치 카즈히로가 1년 계약 기간을 남기고 퇴단하자, 롯데 본사는 감독 후보로 노무라 가쓰야, 도바시 마사유키, 토요다 야스미쓰에게 접촉했으나 모두 거절당했다. 아리토의 감독 겸임안도 나왔지만, 구단주 시게미쓰 타케오가 "앞으로 3년, 선수로 전념하게 하자"라며 중단시켜, 최종적으로 야마모토 카즈요시가 감독으로 취임했다.[10]
1982년 리그 7위의 타율 .301을 기록했지만, 이듬해인 1983년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1984년 "나는 3루수 실격. 감독도 하기 어렵겠지. 외야로 간다"라고 말하며, 오치아이 히로미쓰에게 3루수 자리를 넘기고 외야수로 전향했고,[11] 감독 이나오 카즈히사는 "에러도 하지만, 좋은 곳에서 쳐준다."라고 아리토를 평가했다.[12]
1985년 7월 11일 가와사키 구장에서 열린 한큐 브레이브스 전에서 호시노 노부유키에게서 3루 선상 2루타를 날려, 퍼시픽 리그 대졸 선수 사상 첫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13] 같은 해 10월 14일 세이부 라이온즈 전에서는 나가에 야스시에게서 대타 만루 홈런을 쳤다. 이듬해인 1986년에 현역 은퇴했다. 은퇴 경기는 같은 해 10월 19일 더블 헤더 2차전 닛폰햄 파이터스 전에서 4번·3루수로 출장하여,[14] 1타석째에 현역 마지막 안타를 다카다 히로히사에게서 쳤다.
3. 지도자 경력
아리토 미치요는 1986년 오프에 현역에서 은퇴한 후, 해임된 이나오 가즈히사의 후임으로 롯데 오리온스 감독에 지명되었다.[15] 취임 직후 주포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주니치 드래곤스로 이적했고,[15] 1987년 오프에는 레론 리도 퇴단하여 팀은 급격히 약화되었다.[15] 아리토는 오치아이와의 불화로 인해 그를 내보냈다는 설이 있었으나,[15][16][17] 아리토 본인은 "회사에 ‘오치는 내보낼 수 없다, 절대로 필요하다’라고 부탁했다"며 이러한 사실을 일관되게 부정하고 있다.[18]
감독 취임 초, 아리토는 선수들에게 엄격하게 대했고, 경기 중 항의 등으로 자주 그라운드에 뛰쳐나가는 등 투쟁심을 드러냈다. 코치진에는 고등학교 및 오리온즈 선배인 도이 쇼스케와 하마무라 다카시를 임명했다. 재임 기간 동안 5위(1987년), 6위(1988년), 6위(1989년)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고, 2년 연속 최하위라는 구단 사상 첫 굴욕을 맛본 뒤 3년 만에 퇴임했다.
1987년에는 오치아이가 빠진 공백으로 4번 타자를 고정하지 못하고 빈타에 시달렸다. 우시지마 가즈히코가 24세이브로 최우수 구원 투수 타이틀을 획득하고, 쇼 가츠오, 소노카와 가즈미, 무라타 쵸지가 분전했지만, 팀은 5위에 그쳤다. 팀 도루는 리그 1위(152개)였으나, 완봉패 17차례, 홈런은 리그 최소(104개)였다.
1988년에는 빌 매드록을 영입했으나, 기대만큼의 성적을 내지 못하고 팀은 최하위로 추락했다. 니시무라 노리후미가 3년 연속 도루왕, 다카자와 히데아키가 수위 타자를 획득하고, 오가와 히로시가 리그 최다 탈삼진을 기록했지만, 투수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0월 19일, 10.19 더블헤더 제2경기에서 아와노 히데유키의 견제구를 둘러싸고 9분간 항의한 사건으로 "긴테쓰의 우승을 저지한 감독"이라는 이미지를 얻었다.[19]
1989년에는 마이크 디아즈를 영입, 디아즈는 타율 .301, 39홈런, 105타점을 기록하고 니시무라는 4년 연속 도루왕을 차지했다. 우시지마 가즈히코가 12승, 무라타 쵸지가 최우수 평균자책점을 획득했지만, 다른 투수진의 부진으로 팀은 2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고, 아리토는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아리토는 후일 감독 시절에 대해 "1년차에 그만두고 싶었다. 선수에서 갑자기 감독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회상했다.
연도 | 소속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승차 | 팀 홈런 | 팀 타율 | 팀 평균자책점 | 연령 |
---|---|---|---|---|---|---|---|---|---|---|---|---|
1987년 | 롯데 | 5위 | 130 | 51 | 65 | 14 | .440 | 20.0 | 104 | .264 | 3.67 | 41세 |
1988년 | 6위 | 130 | 54 | 74 | 2 | .422 | 21.0 | 100 | .262 | 4.38 | 42세 | |
1989년 | 6위 | 130 | 48 | 74 | 8 | .393 | 21.5 | 119 | .266 | 4.50 | 43세 | |
통산 : 3년 | 390 | 153 | 213 | 24 | .418 | B클래스 : 3회 |
3. 1. 롯데 오리온스 감독 시절
아리토 미치요는 1986년 오프에 현역에서 은퇴한 후, 해임된 이나오 가즈히사의 후임으로 롯데 오리온스 감독에 지명되었다.[15] 취임 직후 주포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주니치 드래곤스로 이적했고,[15] 1987년 오프에는 레론 리도 퇴단하여 팀은 급격히 약화되었다.[15] 아리토는 오치아이와의 불화로 인해 그를 내보냈다는 설이 있었으나,[15][16][17] 아리토 본인은 "회사에 ‘오치는 내보낼 수 없다, 절대로 필요하다’라고 부탁했다"며 이러한 사실을 일관되게 부정하고 있다.[18]감독 취임 초, 아리토는 선수들에게 엄격하게 대했고, 경기 중 항의 등으로 자주 그라운드에 뛰쳐나가는 등 투쟁심을 드러냈다. 코치진에는 고등학교 및 오리온즈 선배인 도이 쇼스케와 하마무라 다카시를 임명했다. 재임 기간 동안 5위(1987년), 6위(1988년), 6위(1989년)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고, 2년 연속 최하위라는 구단 사상 첫 굴욕을 맛본 뒤 3년 만에 퇴임했다.
1987년에는 오치아이가 빠진 공백으로 4번 타자를 고정하지 못하고 빈타에 시달렸다. 우시지마 가즈히코가 24세이브로 최우수 구원 투수 타이틀을 획득하고, 쇼 가츠오, 소노카와 가즈미, 무라타 쵸지가 분전했지만, 팀은 5위에 그쳤다. 팀 도루는 리그 1위(152개)였으나, 완봉패 17차례, 홈런은 리그 최소(104개)였다.
1988년에는 빌 매드록을 영입했으나, 기대만큼의 성적을 내지 못하고 팀은 최하위로 추락했다. 니시무라 노리후미가 3년 연속 도루왕, 다카자와 히데아키가 수위 타자를 획득하고, 오가와 히로시가 리그 최다 탈삼진을 기록했지만, 투수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0월 19일, 10.19 더블헤더 제2경기에서 아와노 히데유키의 견제구를 둘러싸고 9분간 항의한 사건으로 "긴테쓰의 우승을 저지한 감독"이라는 이미지를 얻었다.[19]
1989년에는 마이크 디아즈를 영입, 디아즈는 타율 .301, 39홈런, 105타점을 기록하고 니시무라는 4년 연속 도루왕을 차지했다. 우시지마 가즈히코가 12승, 무라타 쵸지가 최우수 평균자책점을 획득했지만, 다른 투수진의 부진으로 팀은 2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고, 아리토는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아리토는 후일 감독 시절에 대해 "1년차에 그만두고 싶었다. 선수에서 갑자기 감독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회상했다.
연도 | 소속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승차 | 팀 홈런 | 팀 타율 | 팀 평균자책점 | 연령 |
---|---|---|---|---|---|---|---|---|---|---|---|---|
1987년 | 롯데 | 5위 | 130 | 51 | 65 | 14 | .440 | 20.0 | 104 | .264 | 3.67 | 41세 |
1988년 | 6위 | 130 | 54 | 74 | 2 | .422 | 21.0 | 100 | .262 | 4.38 | 42세 | |
1989년 | 6위 | 130 | 48 | 74 | 8 | .393 | 21.5 | 119 | .266 | 4.50 | 43세 | |
통산 : 3년 | 390 | 153 | 213 | 24 | .418 | B클래스 : 3회 |
4. 은퇴 후
은퇴 직후인 1987년, 롯데 오리온스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에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으로 취임한 호시노 센이치와 함께 NPB 사상 최초의 전후 출생 감독이 되었다. 한 번도 A클래스에 진입하지 못하고, 1989년 시즌 종료를 끝으로 퇴임했다.[3]
감독 퇴임 후 1990년부터 TBS 텔레비전(2005년까지)·TBS 라디오, 스포츠 닛폰의 야구 평론가를 맡고 있으며 (2009년부터는 TwellV에서 방영되는 롯데 구단 제작의 중계도 겸임) 가이힌마쿠하리역 근처의 오코노미야키 가게 "아리가토(有賀藤)"의 오너이기도 하다.[3]
2005년 5월 6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대 지바 롯데 마린스(요코하마 스타디움)의 교류전 개막 시구식에서, 전 다이요의 히라마츠 마사지가 마운드에 섰을 때, 타석에 들어선 것이 아리토였다. 히라마츠가 던진 공을 아리토가 무심코 쳐냈는데 (시구식에서는 보통 헛스윙 스트라이크로 한다) 그 광경에 스탠드의 관객들은 크게 열광했다.
2022년 4월 3일, 사사키 로키가 등판했을 때 해설자로서 "다음에는 노히트 노런, 퍼펙트 게임을."라고 노히트 노런 또는 퍼펙트 게임을 바라는 발언을 한다. 그리고 다음 등판이 된 4월 10일, 사사키 로키의 퍼펙트 게임을 해설자로서 지켜본다. 앞서 언급한 대전 상대, 아군으로서의 퍼펙트 게임을 포함하여, 자신 세 번째 퍼펙트 게임의 목격이 되었다 (또한 1969년 8월 16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전에서 나리타 후미오가 달성한 구단 최초의 노히트 노런에도 선발 출전하였으며, 2022년 현재, 구단이 달성한 3번의 노히트 노런 모두에 함께했다).
현역 시절의 등번호 '''8'''은, 자신이 감독으로 취임한 1987년에 준 영구 결번이 되었지만, 구단이 지바로 이전한 1992년 이후에는 준 영구 결번이 아니게 되었다 (같은 해에 신 외국인 맥스 베너블이 달았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같은 3루수인 이마에 토시아키가 달았다. 이마에가 FA 이적한 2016년에는 빈 번호가 되었지만, 2017년부터는 나카무라 쇼고가 달고 있다.
5. 상세 정보
wikitext
연도 | 소속 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 실패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69 | 롯데 | 108 | 410 | 369 | 57 | 105 | 18 | 1 | 21 | 188 | 55 | 4 | 7 | 0 | 1 | 37 | 0 | 3 | 111 | 4 | .285 | .354 | .509 | .863 |
1970 | 130 | 533 | 467 | 88 | 143 | 25 | 5 | 25 | 253 | 80 | 27 | 12 | 2 | 5 | 50 | 1 | 9 | 100 | 3 | .306 | .380 | .542 | .922 | |
1971 | 125 | 528 | 473 | 85 | 135 | 16 | 2 | 27 | 236 | 60 | 19 | 10 | 0 | 2 | 50 | 2 | 3 | 73 | 15 | .285 | .356 | .499 | .855 | |
1972 | 130 | 565 | 494 | 88 | 141 | 20 | 7 | 29 | 262 | 71 | 31 | 6 | 0 | 5 | 58 | 1 | 8 | 85 | 16 | .285 | .366 | .530 | .897 | |
1973 | 122 | 509 | 453 | 83 | 136 | 22 | 4 | 20 | 226 | 71 | 17 | 6 | 4 | 1 | 47 | 0 | 4 | 82 | 14 | .300 | .370 | .499 | .869 | |
1974 | 117 | 463 | 419 | 79 | 110 | 15 | 5 | 25 | 210 | 63 | 20 | 4 | 1 | 1 | 40 | 3 | 2 | 82 | 8 | .263 | .329 | .501 | .830 | |
1975 | 114 | 468 | 419 | 64 | 109 | 18 | 3 | 21 | 196 | 59 | 22 | 8 | 0 | 5 | 38 | 3 | 6 | 71 | 16 | .260 | .327 | .468 | .795 | |
1976 | 129 | 528 | 473 | 74 | 126 | 18 | 3 | 25 | 225 | 68 | 15 | 10 | 4 | 4 | 42 | 0 | 5 | 91 | 12 | .266 | .330 | .476 | .806 | |
1977 | 115 | 457 | 404 | 72 | 133 | 22 | 3 | 16 | 209 | 53 | 26 | 7 | 3 | 7 | 35 | 1 | 8 | 63 | 12 | .329 | .388 | .517 | .905 | |
1978 | 120 | 524 | 473 | 81 | 132 | 22 | 2 | 20 | 218 | 63 | 17 | 3 | 5 | 2 | 42 | 2 | 2 | 62 | 8 | .279 | .339 | .461 | .800 | |
1979 | 123 | 521 | 471 | 90 | 135 | 22 | 3 | 29 | 250 | 75 | 14 | 3 | 0 | 2 | 45 | 3 | 3 | 66 | 15 | .287 | .351 | .531 | .882 | |
1980 | 107 | 448 | 392 | 69 | 121 | 24 | 1 | 22 | 213 | 64 | 27 | 6 | 4 | 2 | 45 | 5 | 5 | 48 | 16 | .309 | .385 | .543 | .929 | |
1981 | 113 | 458 | 410 | 64 | 117 | 18 | 3 | 15 | 186 | 50 | 13 | 1 | 0 | 1 | 41 | 4 | 6 | 52 | 10 | .285 | .358 | .454 | .812 | |
1982 | 112 | 426 | 385 | 48 | 116 | 17 | 0 | 16 | 181 | 47 | 11 | 2 | 1 | 3 | 30 | 3 | 7 | 45 | 12 | .301 | .360 | .470 | .830 | |
1983 | 111 | 427 | 396 | 50 | 105 | 19 | 3 | 14 | 172 | 60 | 10 | 1 | 2 | 2 | 23 | 4 | 4 | 51 | 19 | .265 | .311 | .434 | .745 | |
1984 | 120 | 435 | 401 | 43 | 98 | 16 | 1 | 11 | 149 | 58 | 6 | 4 | 1 | 2 | 30 | 1 | 1 | 53 | 12 | .244 | .297 | .372 | .669 | |
1985 | 107 | 355 | 316 | 29 | 79 | 14 | 0 | 10 | 123 | 51 | 2 | 2 | 2 | 3 | 33 | 0 | 1 | 48 | 12 | .250 | .320 | .389 | .709 | |
1986 | 60 | 94 | 88 | 7 | 16 | 2 | 0 | 2 | 24 | 13 | 1 | 0 | 0 | 1 | 5 | 0 | 0 | 21 | 1 | .182 | .223 | .273 | .496 | |
통산: 18년 | 2063 | 8149 | 7303 | 1171 | 2057 | 328 | 46 | 348 | 3521 | 1061 | 282 | 92 | 29 | 49 | 691 | 33 | 77 | 1204 | 205 | .282 | .348 | .482 | .830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연도 | 소속 팀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게임차 | 홈런 | 타율 | 방어율 | 연령 |
---|---|---|---|---|---|---|---|---|---|---|---|---|
1987 | 롯데 | 5위 | 130 | 51 | 65 | 14 | .440 | 20.0 | 104 | .264 | 3.67 | 41세 |
1988 | 6위 | 130 | 54 | 74 | 2 | .422 | 21.0 | 100 | .262 | 4.38 | 42세 | |
1989 | 6위 | 130 | 48 | 74 | 8 | .393 | 21.5 | 119 | .266 | 4.50 | 43세 | |
통산: 3년 | 390 | 153 | 213 | 24 | .418 | B클래스 3회 |
- 1987년부터 1996년까지는 130경기제
====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아리토 미치요는 수위 타자 1회(1977년), 신인왕(1969년)을 수상했다.[4] 베스트 나인에 10회(1969년 ~ 1975년, 1977년, 1980년, 1981년) 선정되었는데, 3루수 부문 통산 10회 수상과 7년 연속 수상은 모두 역대 2위이자 퍼시픽 리그 기록이다.[4]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4회(1972년 ~ 1975년) 수상했으며, 1972년에는 3루수 부문 퍼시픽 리그 사상 최초로 수상했다.[4]
일본 시리즈에서는 1974년에 타격상과 기능상을 동시에 수상했다.[4] 올스타전 MVP는 1976년 제1차전에서 수상했다.[4]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에서는 1974년에 기능상, 1980년에 감투상을 각각 1회씩 수상했다.[4]
==== 개인 기록 ====
아리토 미치요의 개인 통산 첫 출장은 1969년 4월 30일 대 니시테쓰 라이온스 5차전(고쿠라 구장)이었으며, 1회말에 정찰 요원 이와사키 다다요시를 대신해 3루수로 출장했다. 첫 선발 출장은 1969년 5월 5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3차전(도쿄 스타디움)에서 6번·3루수로 출장했으며, 이날 7회말에 오이시 기요시로부터 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을 기록했다.
1972년 9월 20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19차전(니시쿄고쿠 구장)에서 6회초 스즈키 게이시로부터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통산 100홈런(역대 71번째)을 달성했다. 1975년 5월 11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7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는 8회초 니미 사토시로부터 솔로 홈런을 쳐 통산 150홈런(역대 40번째)을 기록했다.
1976년 9월 29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후기 11차전(미야기 구장)에서 8회말 노무라 오사무로부터 우중간 2루타를 기록하며 통산 1000안타(역대 98번째)를 달성했다. 1977년 5월 10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5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는 2회말 이노우에 요이치를 대신해 3루수로 출장하여 통산 1000경기 출장(역대 191번째)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 5일 대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후기 1차전(미야기 구장) 4회말에 나가이 다모쓰로부터 좌월 선제 솔로 홈런을 날려 통산 200홈런(역대 18번째)을 달성했다.
1979년 8월 23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후기 8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 6회초 우다 도쇼쿠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통산 250홈런(역대 17번째)을 달성했다. 1980년 8월 9일 대 난카이 호크스 후기 5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2회말 무라카미 유키히로로부터 중전 안타를 기록하며 통산 1500안타(역대 39번째)를 달성했다.
1981년 6월 18일 대 난카이 호크스 전기 13차전(오사카 구장)에 5번·3루수로 선발 출장하며 통산 1500경기 출장(역대 67번째)을 기록했다. 1982년 4월 18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전기 3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6회말 미야모토 시로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통산 1000득점(역대 16번째)을 달성했다. 같은 해 5월 2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5차전(가와사키 구장) 1회말에 마시바 시게쿠니로부터 통산 1000삼진(역대 8번째)을 기록했다. 5월 8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8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는 6회초 마시바 시게쿠니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을 날려 통산 300홈런(역대 14번째)을 달성했다.
1982년 8월 24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후기 4차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에서 8회초 사토 요시노리로부터 중전 안타를 기록하며 통산 3000루타(역대 20번째)를 달성했다. 1984년 8월 25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5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6회말 다치바나 겐지로부터 좌익선상 2루타를 기록, 통산 300개의 2루타(역대 26번째)를 달성했다.
1985년 4월 20일 대 난카이 호크스 1차전(오사카 구장) 3회초에 후지모토 슈지로부터 좌전 적시타를 쳐 통산 1000타점(역대 18번째)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 11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15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6회말 호시노 노부유키로부터 좌익선상 2루타를 날려 통산 2000안타(역대 20번째)를 달성했다. 10월 17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26차전(후지이데라 구장)에 5번·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며 통산 2000경기 출장(역대 22번째)을 기록했다.
아리토는 1970년부터 1982년까지 13회 올스타전에 출장했다. 또한 1969년 시즌 111개의 삼진을 기록하며 퍼시픽 리그 신인 기록을 세웠으며, 1969년부터 1976년까지 입단 이후 8년 연속 20홈런을 기록했다.(역대 4위) 데뷔부터 은퇴까지 이적 없이 한 팀에서만 활동한 프랜차이즈 플레이어이며, 은퇴 후에도 같은 구단에서 감독을 역임했다.
==== 등번호 ====
아리토 미치요는 1969년부터 1986년까지 등번호 8번을 사용했고, 1987년부터 1989년까지는 81번을 사용했다.
==== 등록명 ====
아리토 미치요(有藤 通世)는 1969년부터 1975년 7월 7일까지 사용한 등록명이며, 1975년 7월 8일부터 1989년까지는 아리토 미치요(有藤 道世)라는 등록명을 사용했다.
5. 1. 수상 및 타이틀 경력
아리토 미치요는 수위 타자 1회(1977년), 신인왕(1969년)을 수상했다.[4] 베스트 나인에 10회(1969년 ~ 1975년, 1977년, 1980년, 1981년) 선정되었는데, 3루수 부문 통산 10회 수상과 7년 연속 수상은 모두 역대 2위이자 퍼시픽 리그 기록이다.[4]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4회(1972년 ~ 1975년) 수상했으며, 1972년에는 3루수 부문 퍼시픽 리그 사상 최초로 수상했다.[4]일본 시리즈에서는 1974년에 타격상과 기능상을 동시에 수상했다.[4] 올스타전 MVP는 1976년 제1차전에서 수상했다.[4]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에서는 1974년에 기능상, 1980년에 감투상을 각각 1회씩 수상했다.[4]
5. 2. 개인 기록
아리토 미치요의 개인 통산 첫 출장은 1969년 4월 30일 대 니시테쓰 라이온스 5차전(고쿠라 구장)이었으며, 1회말에 정찰 요원 이와사키 다다요시를 대신해 3루수로 출장했다. 첫 선발 출장은 1969년 5월 5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3차전(도쿄 스타디움)에서 6번·3루수로 출장했으며, 이날 7회말에 오이시 기요시로부터 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을 기록했다.1972년 9월 20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19차전(니시쿄고쿠 구장)에서 6회초 스즈키 게이시로부터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통산 100홈런(역대 71번째)을 달성했다. 1975년 5월 11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7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는 8회초 니미 사토시로부터 솔로 홈런을 쳐 통산 150홈런(역대 40번째)을 기록했다.
1976년 9월 29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후기 11차전(미야기 구장)에서 8회말 노무라 오사무로부터 우중간 2루타를 기록하며 통산 1000안타(역대 98번째)를 달성했다. 1977년 5월 10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5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는 2회말 이노우에 요이치를 대신해 3루수로 출장하여 통산 1000경기 출장(역대 191번째)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 5일 대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후기 1차전(미야기 구장) 4회말에 나가이 다모쓰로부터 좌월 선제 솔로 홈런을 날려 통산 200홈런(역대 18번째)을 달성했다.
1979년 8월 23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후기 8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 6회초 우다 도쇼쿠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통산 250홈런(역대 17번째)을 달성했다. 1980년 8월 9일 대 난카이 호크스 후기 5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2회말 무라카미 유키히로로부터 중전 안타를 기록하며 통산 1500안타(역대 39번째)를 달성했다.
1981년 6월 18일 대 난카이 호크스 전기 13차전(오사카 구장)에 5번·3루수로 선발 출장하며 통산 1500경기 출장(역대 67번째)을 기록했다. 1982년 4월 18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전기 3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6회말 미야모토 시로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통산 1000득점(역대 16번째)을 달성했다. 같은 해 5월 2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5차전(가와사키 구장) 1회말에 마시바 시게쿠니로부터 통산 1000삼진(역대 8번째)을 기록했다. 5월 8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기 8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는 6회초 마시바 시게쿠니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을 날려 통산 300홈런(역대 14번째)을 달성했다.
1982년 8월 24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후기 4차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에서 8회초 사토 요시노리로부터 중전 안타를 기록하며 통산 3000루타(역대 20번째)를 달성했다. 1984년 8월 25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5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6회말 다치바나 겐지로부터 좌익선상 2루타를 기록, 통산 300개의 2루타(역대 26번째)를 달성했다.
1985년 4월 20일 대 난카이 호크스 1차전(오사카 구장) 3회초에 후지모토 슈지로부터 좌전 적시타를 쳐 통산 1000타점(역대 18번째)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 11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15차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6회말 호시노 노부유키로부터 좌익선상 2루타를 날려 통산 2000안타(역대 20번째)를 달성했다. 10월 17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26차전(후지이데라 구장)에 5번·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며 통산 2000경기 출장(역대 22번째)을 기록했다.
아리토는 1970년부터 1982년까지 13회 올스타전에 출장했다. 또한 1969년 시즌 111개의 삼진을 기록하며 퍼시픽 리그 신인 기록을 세웠으며, 1969년부터 1976년까지 입단 이후 8년 연속 20홈런을 기록했다.(역대 4위) 데뷔부터 은퇴까지 이적 없이 한 팀에서만 활동한 프랜차이즈 플레이어이며, 은퇴 후에도 같은 구단에서 감독을 역임했다.
5. 3. 등번호
아리토 미치요는 1969년부터 1986년까지 등번호 8번을 사용했고, 1987년부터 1989년까지는 81번을 사용했다.5. 4. 등록명
아리토 미치요(有藤 通世)는 1969년부터 1975년 7월 7일까지 사용한 등록명이며, 1975년 7월 8일부터 1989년까지는 아리토 미치요(有藤 道世)라는 등록명을 사용했다.참조
[1]
웹사이트
Masayuki Kakefu Japanese Leagues Statistics & History
https://www.baseball[...]
[2]
웹사이트
価格.com - 「有藤実花」に関連する情報 | テレビ紹介情報
https://kakaku.com/t[...]
[3]
뉴스
「ミスターロッテ」有藤氏の思い受け継ぎ「有賀藤(ありがとう)」―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4]
웹사이트
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賞 歴代受賞選手
https://mgg.mitsuipr[...]
2021-02-17
[5]
뉴스
ホークス一筋・藤原満さん聞き書き「ぶれない」④有藤と三遊間組みリーグ初V
https://web.archive.[...]
西日本スポーツ
2022-01-08
[6]
간행물
有藤通世「我が道」(11)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3-11
[7]
웹사이트
【70年代のプロ野球を語る】ロッテ・有藤通世「同じドラフト1位の野手には負けたくない。プロで長くやれたのもその気持ちがあったから」 | 野球コラム - 週刊ベースボールONLINE
https://column.sp.ba[...]
週刊ベースボールONLINE
[8]
간행물
有藤通世「我が道」(19)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3-19
[9]
서적
よみがえる1970年代のプロ野球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2-03
[10]
뉴스
【虎番疾風録(39)】仰天ロッテ山本監督決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10-10
[11]
문서
同年は右翼手、1985年は左翼手が中心。1986年は三塁手に戻る。
[12]
서적
【セ・パ誕生70年記念特別企画】よみがえる1980年代のプロ野球 Part.10 [1984年編]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
[13]
웹사이트
有藤通世(ロッテ) 1985年…:今昔「安打製造機」 2000安打 写真特集: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14]
서적
【セ・パ誕生70年記念特別企画】よみがえる1980年代のプロ野球 Part.2 [1986年編]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9
[15]
서적
野球人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8
[16]
서적
リー、思いっきり愛―不思議の国の四番バッター
河出書房新社
1989
[17]
서적
お笑いプロ野球殿堂 ダメ監督列伝
光文社
2004
[18]
웹사이트
村田兆治が逆ギレ…ノーサインなのに「何投げさせてるんだ!」理不尽を受け入れたロッテ名捕手が語る“落合博満が電撃トレード後”のチーム事情(岡野誠)
https://number.bunsh[...]
2024-07-18
[19]
간행물
週現『熱討スタジアム』近鉄×ロッテ「10.19ダブルヘッダー」を語ろう 有藤通世×金村義明×阿波野秀幸
講談社
2012-11-03
[20]
문서
(「jam jam野球界」1981年)
1981
[21]
웹사이트
【ロッテ】結果を残し続けた秘密は宿舎の机の上に積まれた有藤ノート|野球|日刊ゲンダイDIGITAL
https://www.nikkan-g[...]
日刊ゲンダイDIGITAL
[22]
웹사이트
有藤通世はなぜミスター・ロッテと呼ばれ始めたのか/週べ回顧1973年編
https://column.sp.ba[...]
週刊ベースボールONLINE
[23]
뉴스
各球団の通算本塁打トップ3。東京ヤクルトは、池山、バレンティン、山田(宇根夏樹)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4]
문서
「有藤さん、『ホカロン』は?」と聞かれると、有藤は「軽く振るだけですよ」と言う。その後、「じゃ、ホームランは?」と聞かれると有藤は再び「軽く振るだけですよ」と言うもの
[25]
웹사이트
SunSet Swishのニュー・シングル“ありがとう”のプロモ・クリップに村田兆治と有藤通世が出演
https://tower.jp/art[...]
タワーレコード
2007-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